로얄가드의 하늘을 보며 망상

royal1.egloos.com

포토로그




Autoruns를 이용한 악성코드 진단과 처리 컴퓨터 친구들


Autoruns를 이용한 악성코드 진단과 처리


- Autoruns 다운로드 페이지 
http://technet.microsoft.com/en-us/sysinternals/bb963902.aspx


- Sysinternals 의 Autoruns
 - Autoruns는 MS가 배포 하지만 실제는 윈도우 시스템 툴의 강자인 Sysinternals사의 작품입니다. 
  Autoruns외에 Process Explorer등이 유명 합니다. 

 - Autoruns는 쉽게말해서 윈도우가 실행 될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 XP의 경우 루트킷같은것이 있어서 Autoruns만으로는 모든 분석을 할 수 없지만 윈도우7 부터는 
  Autoruns만 있어도 시스템에 이상한 녀석이 들어왔거나 하는것은 어지간 해서는 다 발견 가능합니다.


- 필자의 컴퓨터

 - 필자의 컴퓨터는 윈도우 7의 64비트를 씁니다. 보안성도 좋고 게임 같은거 문제 없습니다.
 - 쓸모 없는 프로그램, 출처가 불확실한 프로그램은 절대 설치 하지 않으며 방화벽과 백신을 구동해서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예전에는 악성코드가 들어와도 발견과 처리 할 수 있기때문에 백신을 설치 하지 않은적도 있지만
    요즘은 귀찮아서 그냥 설치 합니다)


- 기본 실행

1. 일단 autoruns를 실행 하면 바로 스켄에 들어갑니다. Esc를 눌러서 중지 합니다.
2. Option에 Filter Options에 들어가서 
   - Verify Code signatures
   - Hide Microsoft entries 
   두가지를 체크 합니다
3. F5 를 눌러서 다시 스켄을 합니다.
4. Everything 페이지에서 무수히 많은 내용이 나올겁니다. 여기 있는 내용을 다 이해하면 초고수인것이고
  하나 하나 페이지마다 돌아다니면서 이상한 점을 찾으면 됩니다.
  친절하게 이상하다 싶은것은 진한핑크색으로 처리 되어 있으므로 그부분을 주로 보면 됩니다.

5. Publisher에 (Verified)라고 뜨는것은 MS서버에 물어봐서 정상적인 파일임이 확인된 파일입니다. 
  (Not verified) 라고 뜨는 파일이 알수 없는 위험도가 높은 파일이지만 회사에 따라서는 원가 절감을 위해서 
  MS인증을 받지 않고 배포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려 MS의 파일도 (Not verified)로 배포 된는 파일도 있죠



- Logon 페이지


 - 윈도우 실행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여러가지 엄한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다면
   상당한 양의 리스트가 보일것이고 관리가 잘 되어 있다면 매우 적은 양만 보이게 됩니다.

 - 필자의 화면을 보면 V3lite, 로지텍 드라이버, 애플관련 프로그램, ATI관련 프로그램등이 보입니다. 
   다 (Verified) 된 정상 파일 입니다.
 - (Not verified)로 되어 있는 파일의 경우 SoundMax는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드라이버 입니다.
 - CurseClient 관련 파일도 알수 없음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것도 믿을만한곳에서 받은 정상 파일이죠

 - 자신이 잘 모르겟다 싶은것이나 사용하지 않을것은 은 체크를 해제 해두면 됩니다.
  필자의 경우 아버지 핸드폰 연결용으로 쓰는 LG 휴대폰의 연결관리 프로그램과 DivxUpdate를 체크 해제 했습니다.

 - 일부 악성코드의 경우 대놓고 Logon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Not verified)이면서 알수 없는 파일의 경우 체크 해봐야 합니다.


- Internet Explorer 페이지

 - IE에 붙어서 동작하는 BHO관련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보여집니다.
  - 툴바 프로그램이나 기타 IE에 붙어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등

 - 이곳에 매우 많은 리스트가 있다면 IE가 막장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뜻입니다. 
 - 이곳에서 알수 없는 파일이 있다면 주로 에드웨어나 스파이웨어등이 주로 해당 됩니다.



- Service 페이지 


 - 윈도우에 서비스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의 리스트 입니다. 역시 리스트가 많으면 윈도우에 깔린것이 많다는 뜻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윈도우 자동시작 프로그램을 띄우는 경우도 있고 진자로 프로그램의 서비스가 설치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웹하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주로 서비스에 등록 됩니다.

 - 악성코드의 경우 서비스에 등록 되어 동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 회사이름을 위장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Not verified)의 경우 주의 해야 합니다.

 - 필자의 화면을 보면 에플과 로지텍, N드라이브, V3관련 서비스가 있는것을 확인 가능하며
   잉카의 nProtect관련 서비스는 죽여놨습니다.


- Drivers 페이지

 - 임시로 혹은 영구적으로 윈도우에서 돌아가는 서비스 드라이버파일리스트를 보입니다.
 - 임시로 사용하고 삭제 되는 임시 드라이버들도 리스트에 등록 되므로 (file not found) 관련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악성코드가 루트킷등으로 숨어서 안보일 가능성도 있긴 하지만 그런 가능성은 낮습니다. 
 
 - 역시나 악성코드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Not verified)로 되어 있는 파일은 주의 해야 합니다



- Boot Execute, Image Hijacks, Appinit (매우 중요!)
 - 이부분은 정상적인 윈도우라면 비어있는것이 정상입니다. 
   어떠한 파일이 등록되어 있다면 높은 확율로 악성코드입니다.
  특히나 WOW나 디아블로등의 해킹에 사용되는 악성코드는 Appinit에 주로 붙어서 동작합니다.

  Appinit에 Himym.dll 파일이 붙어있다면 악성코드 100%




- 악성 코드 발견시의 대처
 - 일단 해당 부분을 체크 해제 해서 재부팅 합니다. 그리고 다시 Autoruns를 실행 해서 계속 체크 해제 상태인지 
   확인 합니다. 다시 체크가 되어 있다면 다른 악성코드가 다시 등록한것이기 때문에 악성코드가 1개 이상일수
   있습니다. 
 - 악성코드 체크 해제 후 재부팅을 했다면 해당 부분을 오른쪽 클릭해서 [Jump to Folder]를 선택하면 탐색기로 해당
   폴더를 엽니다. 그리고 파일을 압축 해둔 다음 삭제 합니다. 
 - 그냥 지우는것은 비추천 합니다. 잘못 판단 했다면 다시 살려야 하니까요





안전한 게이밍과 웹서핑을 위한 보안 전문가의 조언


** 이건 절대 하지 마라

1. Windows XP 쓰지 마라
 - XP 나온지 10년된 OS이고 커널 자체도 구형, 그리고 너무 많이 분석 되어 있어서 
  너무 쉽고 다양하게 뚫릴 가능성이 많으며 한번 뚫리면 루트킷에 기타 등등
  다양한 해킹 상황을 만날수 있다.
 - 그냥 XP는 쓰지 말것 윈도우 7 추천, 운영할 자신 있다면 64비트로 추천

2. IE 쓰지 마라, 특히 6,7,8
 - IE9는 조금은 봐줄만 하지만 그 밑으로는 쓰지 말라고 하고 싶음.
 - 특히나 IE에서 넣는 비밀번호는... 보안성이 매우 떨어짐
 - 구글 크롬을 주로 추천합니다. (몇몇나라는 이미 크롬의 점유율이 IE를 넘어섰음)

3. 가상 키보드 쓰지 마라 
 - 마우스로 클릭해서 키보드 넣으니 안정적일것 같지만 정반대임 
   그냥 후킹되서 비밀번호 다 불어버린다. 보안 가상 키보드 아닌 이상 절대 가상키보드 쓰지 말것

4. 방화벽 없이 인터넷 하지 말것
 - 인터넷 공유기가 기초적인 방화벽기능을 함, 1대만 쓰더라도 공유기를 쓰는것을 추천
 - 설정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의 방화벽까지 바라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윈도우 방화벽 정도는 켜놔야 됨
 - 추천하는 일반인 세팅은 공유기 환경 + 윈도우 방화벽 OR 설정이 쉬운 방화벽 계열
 - 그리고 인터넷 공유기 DMZ 설정은 절대 하지 말것

5. 백신 같은거 믿지 마라
 - 딴나라에서 잘나간다고 내가 가는 사이트가 해킹된거 검출해준다는 보장은 없다.
   악성코드는 점점 더 지역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유명 한거 쓴다고 해도 믿을수 없다. 복불복임
 - 또한 한번 감염 되면 백신을 무력화 시키고 자신이 동작하는 AV-KILLER 계열 악성코드가 많으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백신의 실시간 감시가 꺼졌거나 업데이트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높은 확율로 악성코드에
   감염된것이다. 재설치 해도 업데이트/실시간 감시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100%

6. 알수 없는 소스에서 얻은 실행 파일은 실행 하지 않는다.
 - 개인이 만든 유틸리티 다운로드 후 설치
 - 키잰, 크랙
 - 불법 다운 게임
 - 위의것들이 난 이것을 해드립니다 하는 기능외에 추가적인 동작을 하거나 스파이웨어를 심거나
   할 수 있음. 
 - 유명한 유틸리티고 공식 배포처가 아닌곳에서 다운 받았다면 악성코드와 함께 재 패키징 되어 있을수 있음
 - 키잰과 크랙이 해당 기능만 하고 곱게 사라져 준다는 보장이 있나?

7. 웹서핑은 안전한 브라우저로
 - IE로 브라우징 할 경우 사이트 감염을 확인 가능한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 (사이트 가드 같은것)
 - 크롬이나 파이어폭스등은 들어가기 전에 감염된 사이트 경고를 하니까 일반적으로 추천함
 - 유명한 커뮤니티 사이트, 신문사이트 이런것 매우 잘 털림. 
   특히 상주인력이 적고 대응이 느린 주말에 잘 털림 

8. 중국산과 관련된 프로그램
 - 과거 QQ메신저등 중국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많은 취약점과 해킹으로 사용자를 위협했었음
 - 중국산 S/W의 경우 취약점도 많으며 취약점을 찾아서 공격하려는 중국 해커의 표적이 되기 때문에
   사용을 최소화 한다.

9. 동일한 패스워드로 인터넷과 게임을 병행 하면 안됨
 - 인터넷 로그인용 ID/PASS, 게임용 ID/PASS, 은행용 ID/PASS 3벌을 완전히 다르게 해서 사용하는것이 안전하다
   개인정보 털려 나갔다고 뉴스에 뜨는건 그야말로 이미 털린거 입막을거 막고 숨길려고 하다가 들통난거라
   실제로는 어마어마하게 해킹되어 퍼졌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신이 털린지도 모르는 사이트도 널렸다는거   
   그러므로 인터넷 로그인용 패스워드는 버리는 카드로 써야됨 게임과 동일하게 하면 게임까지 털리게 됨

10. 백신을 2개 깔면 안됨
 - 백신을 2개 까는건 절대 안되는 행동임, 특히 XP급의 OS에서 백신 2개 설치 하면 무슨일이 있을지 장담할수
   없으며 설치된 백신이 정상 동작 한다고 보장 되지도 않음
 - 실시간 감시만 끄면 되는거 아냐 하는 생각 하지도 말것 절대 1PC 1백신 유지
 - 비슷한걸로 방화벽도 2개 깔면 안됨



** 이건 좀 해주자


1. 업데이트는 꼼꼼히 챙겨서 한다
 - 윈도우 업데이트, 플레시 업데이트 S/W 업데이트등의 대부분의 보안 업데이트일 가능성이 크다.
   업데이트는 최대한 나오자 마자 해주는게 좋다. 
   (물론 진짜 안정적인 컴퓨팅은 나오고 안정적이라는것 확인 후 업데이트 하는것)


2. 최소한의 해킹 방어에 대한 공부를 한다. 
 - AUTORUNS 같은 MS가 제공 하는 시스템 분석툴을 조금만 볼 줄 알아도 자신의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다.
 - 어떤 사이트가 잘 털리고 어떤 소프트를 썼을때 문제가 있는지의 정보를 본다.
 - 네이버등에 보면 보안이나 악성코드 관련 까페가 많으므로 가입해서 정보만 읽어봐도 트렌드를 알 수 있음


ps.
- 많은 분들이 해킹관련 고생하는것 같아서 급하게 급조했습니다. 오타등이 있을수 있습니다. (필자도 겜해야 해서...)
  

덧글

  • 손님 2012/07/17 16:22 # 삭제 답글

    좋은글 정말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백신을 2개 깔면 안된다는 말에 움찔 했네요.. V3, 알약 둘다 깔았는데.. 알약을 지우는게 낫겠죠?
  • RoyalGuard 2012/07/17 17:07 #

    알약 지우세요
  • 음..? 2012/09/30 08:06 # 삭제 답글

    Boot Execute 에 AhnLab가 있네요..? verified고...이것도 악성코드일까요?
  • RoyalGuard 2012/10/09 10:31 #

    verified면 문제 없을 겁니다.
    의심 가면 www.virustotal.com 에 업로드 해서 검사해보세요
  • nick 2013/01/13 11:10 # 삭제 답글

    잘배우고 갑니다 !
  • aas 2013/01/14 19:48 # 삭제 답글

    file not found는 체크박스 다풀어도 되나요?
  • RoyalGuard 2013/01/16 14:03 #

    file not found는 실제 파일이 없거나 루트킷등으로 숨겨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
    루트킷일 가능성은 적습니다.
    프로그램이 레지에 등록 후 삭제 되었을 경우 레지스트리를 안지우는 경우도 있고...
    임시로 설치 없이 실행 되는 프로그램이 레지스트리에 남기는 흔적일 수도 있습니다.
  • dd 2013/02/12 21:43 # 삭제 답글

    C:UsersuserAppDataLocalTemp438550.txt을 시작하는동안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지정된모듈을 찾을수없습니다. 라고 떠서 autoruns 를깔앗는데요...
    찾아보니깐 이경로로 이파일이없어서 체크를 풀수도없고
    file not found파일은 많은데 이거다 체크풀어도될까요??
  • RoyalGuard 2013/02/13 11:49 #

    FILE NOT FOUND의 경우 파일이 삭제되었거나 루트킷으로 숨겨진 파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체크 풀고 재부팅후 AUTORUNS 돌려 보시고 비슷한것이 다시 생성 되어 있다면
    자세한 검사가 필요 합니다.
  • 헬프ㅠ 2013/02/28 00:48 # 삭제 답글

    제가최근에 컴퓨터 구글크롬과 익스플로러 둘다 사용햇엇는데 둘다갑자기안되서(인터넷연결은되요) V3실행도안되고 ..핸드폰으로 이 사이트알게되서 오토런을 핸드폰에담고 컴퓨터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오토런 깔아서 스캔햇는데 빨간색이엄청많은거에요 ;이름비슷한것도 많고 그래서 빨간거만다 딜리트하고 안전모드로 다시 재부팅해서 햇는데 삭제한것이또잇네여 ㅠㅠ 안전모드라그런가요 ㅠㅠ표준모드로 하면 롤도 로그인하면현재서버가혼잡하다뜨고 내컴퓨터들어가면 계속 탐색중 아이콘만뜨고 다른프로그램실행하면 다 응답없음뜨는데 왜이러나요 ㅠㅠ제발도와주세요OS는 윈도우XP에요 ㅠ
  • RoyalGuard 2013/02/28 09:40 #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듯 합니다.
    autoruns는 루트킷은 탐지 하지 못하는데...
    autoruns 에서 삭제 해도 다시 살아 났다는건...
    1. 모든것을 삭제 하지 못했음
    2. 안보이는 루트킷이 되살리고 있음...
    루트킷까지 처리하려면 gmer 검색해서 받은 다음 돌려보세요
    윈도우 새로 설치 하시거나...
  • 지나가던사람 2014/02/02 19:38 # 삭제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망할 바이러스 찾아서 지웠네요
    v3에서 어비스트 다돌려가면서도 못찼던거 잡았습니다 ㅎㅎ
  • 헬프미 2014/02/06 22:46 # 삭제 답글

    autoruns에서 뭘 잘못 삭제했는지.. PS/2 키보드와 PS/2 마우스가 재부팅후 안먹어요.. 어떻게 살릴 방법이 없을까요?
    드라이버 삭제후 재설치해도 안되고 에러코드 19번, 에러코드 10번 이라는데요.ㅠㅠ
    키보드는 USB 타입도 안먹고, 다행이도 마우스는 USB는 되서 그걸로 쓰는데 어마어마하게 불편하네요..
    어떻게 살릴방법이 없는지요? 윈도우 다시깔기는 아직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요.. ㅠㅠㅠ
  • RoyalGuard 2014/02/07 09:47 #

    장치관리자에 ! 있는게 있는지 확인 해보시고
    시스템 복원 해보세요
  • 로마로 2014/04/14 11:29 # 삭제 답글

    정말 공익적인 마음을 가진 자의 좋은 안내입니다. 감사합니다.
  • 지나가던 사람2! 2015/12/24 12:32 # 삭제 답글

    MSI노트북을 사용하고 있는데 노트북 회사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본 관리툴도 많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많아서 정상적인 상태(생각되는)일 때 메모리 사용량이 20%(2.2GB) 사용중인데

    가끔씩 아이들 상태에서 CPU 사용량도 1%대이고 하드(SSD)사용률도 0%를 유지하는데 메모리 혼자 5~6GB를 사용중인 일이 생겨서

    문제 찾는다고 검색하다가 들어왔는데.. 오토런 사용해도 그다지 의심스러운 파일은 보이지 않네요... 어떻게 도움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ㅠ
  • 태미 2016/02/06 00:39 # 삭제 답글

    이도저도 이해안되면 복구를 하는게 낫겠죠?ㅜ
댓글 입력 영역